이 단원의 주된 문법적 사항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앞의 3단원이랑 같게 보셔도 됩니다…
여기서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에 대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구문이 아닌 다른 유형들을
익혀 봅니다. 우선 명사 + to 부정사가 의미상 동격을
나타내는 쓰임새로 쓰인다는 점과 전치사 + 관계대명사 + to 부정사
로 쓰였을 때 관계 대명사를 수식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에 대해 여러 예문들을 해석해보도록
합시다.
예문)
He had the
kindness to show me the way.
I cannot find words in which to thank you.
해석)
그는 친절하게도 나아게 길을 가리켜 주었다.
나는 너에게 고맙다고 할말을 찾을 수 없다. – 즉 엄청 고맙다는
얘기
예문해설)
1) 첫번째 문장은 the
kindness를 to show가 수식한다고 생각하셔도 되고, 아니면 the kindness와 to
show를 동격으로 보셔도 됩니다.
2) 두번째 문장은 앞의 선행사 words를
받는 단어가 which 이므로 which를 수식하는 용도로
to thank you를 썼습니다. 여기서 관계 대명사 which는 생략을 할 수 있는데 생략할 경우 전치사 in 은 to 부정사 뒤로 빼셔야 합니다. 전치사 형태가 두번 반복될 수는 없기
때문이죠. 즉 다음과 같이 수정이 됩니다.
I cannot find words to thank you in.
이제 이러한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의 쓰임새에 맞추어 다음의
단문들을 해석해 보도록 합시다.
1) he had the courage to fight against terrible odds.
2) This is the best way to learn a foreign language.
3) He did so in his anxiety to help you.
4) She shows an inclination to grow fat.
5) The mayor announced his decision to retire.
6) Give me a basket in which to carry the apples.
7) We should keep a large graveyard in which to bury the faults of our
friends.
8) He has no house in which to live.
9) There were ten minutes in which to make up his mind.
단문 해설)
1. to fight는 courage를
수식하는 일종의 동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2. to learn은 way를
수식하는 일종의 동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3. to help는 anxiety를
수식하는 일종의 동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4. to grow는 inclination을
수식하는 일종의 동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5. to retire는 decision을
수식하는 일종의 동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6. in + which + to carry의 결합으로 which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여기서 which를 생략하면
Give me a basket to carry the apples in.
7. in + which + to bury의 결합으로 마찬가지로 which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여기서 which를 생략하면 We should keep a large graveyard
to bury the faults of our friends in.
8. in + which + to live의 결합으로 which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여기서 which를 생략하면 He has no house to live in.
9. in + which + to make up his mind의
결합으로 which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여기서 which를
생략하면 There were ten minutes to make up his mind in. make up
one’s mind는 결심하다는 뜻의 숙어
이제 실전 독해 문장을 해석해 봅시다.
독해 연습
1. I make no attempt to keep up with the
younger writers; and I only hope to have the time to get through some of the
classics I have never read.
해설)
첫번째 문장의 keep up with는 ~을 따라잡다라는 숙어인데 뒤에 고전을 독파할 시간이라고 언급을 하는것으로 봐서는 어린작가들의 작품을 읽어보는
것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To keep up with 가
attempt를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 뒷부분의 to
get through는 앞의 the time을 수식해 주는 형용사적 용법의 to 부정사입니다.
2. Most of the students went home to spend
their vacation. I had no money with which to go home, but I had to go
somewhere.
해설)
첫번재 문장의 to 부정사는 뒤에서 여러 예문으로 살펴볼 부사적용법의
to 부정사 원래는 목적으로 해석하는게 맞겠으나 여기서는 결과로 해석했습니다. 두번째 문장의 with which to go에서 to go가 형용사적 용법의 to 부정사입니다.
3) He who is guided by his genius, that is
to say, he who thinks for himself possesses the compass with which to find the
right course.
해설)
일단 직독직해의 원칙을 따르자는 측면에서 그냥 ‘그’라고 해석을 했는데 해석을 쓰고보니 일반적인 사람을 나타내어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천재성이 이끄는 사람에 대한 글쓴이의 견해가 밝혀진 글이니까요 with
which to find the right course가 여기에서 살펴본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4. With so much to read, and so little time
and opportunity in which to read, the simplest and wisest thing we can do is to
choose the best books we read.
해설)
여기서의 with는 이유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Much to read에서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in which to read에서 마찬가지로 이 단원에서 살펴본 형용사적 용법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5. A dictionary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word. But the only way to understand a word fully is to see it
in use in as many contexts as possible. This means that anyone who wants to
improve his vocabulary must read a great deal.
해설)
Help는 help + 목적어 + to 부정사나 원형 부정사 형식을 다 쓸 수 있습니다. 도와달라는데
문법이 빡빡하면 안되겠죠? 두번째 문장의 the only way to
understand a word에서 to understand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또한 두번째 문장에서 as ~ as possible이라는 동등비교 구문도 사용되었습니다.
6. There is no human society, however
primitive, which has not discovered the use of tools, even if these consist of
nothing more than sharpened pieces of stone and wood with which to kill animals
for food, or to dig the soil for crops.
해설)
앞의 주절에 no 뒤의 관계사절에 not이
있으므로 이중부정입니다. 이는 모든 언어에 해당하는 말이지만 결국 강한 긍정이죠.. even if는 양보의 의미입니다. ~임에도 불구하고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Consist of 는 ~로 구성되어 있다는 뜻의
숙어 입니다. Nothing more than은 no more
than과 같은 의미로 only(단지, 겨우) 의 의미를 가집니다. With which 다음에 나오는 to kill 과 to dig가 형용사적 용법의 to 부정사 입니다.